김상훈
김상훈
소속
경희대학교 (생물학과)
AI요약
경희대학교 생물학과 김상훈 교수는 흑색종 전이 억제 및 멜라닌 생성 억제를 위한 혁신적인 조성물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특히, miRNA 및 siRNA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활용하여 특정 유전자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질병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등록된 주요 특허로는 miRNA를 포함하는 흑색종 전이 억제용 조성물과 Rap1a 및 microRNA-2478을 활용한 멜라닌 생성 억제용 조성물이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피부 질환 및 암 치료 분야에서 중대한 발전을 이끌 것으로 기대됩니다. 김상훈 교수의 연구는 바이오 신약 개발 및 질병 진단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 ![]() |
연구자 명 | 김상훈 |
직책 | 교수 |
이메일 | shkim@khu.ac.kr |
재직 상태 | 재직 중 |
소속 | 경희대학교 |
부서 학과 | 생물학과 |
사무실 번호 | 029619208 |
연구실 | 동물세포생리학실험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khuacp.khu.ac.kr/ |
홈페이지 | http://khuacp.khu.ac.kr/Professor |
경력정보
회사명 | 경희대학교 |
재직기간 | 재직 중 |
담당업무 | 1999. 3. - 현재 : 경희대학교 생물학과 교수 재직 중 |
회사명 | UC Davis |
재직기간 | - |
담당업무 | 2006. 1. - 2006. 12.: 미국, UC Davis 방문교수 |
중요 키워드
#멜라닌 생성 억제#프로테옴#바이오마커#방사선 민감성#흑색종#암 치료#유전자 발현 억제#한우#전이 억제#세포치료제#대장암#피부 색소 침착#항암제 민감성#miRNA#경제형질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내용 | [연구 분야] 핵심 분야: 동물세포생리학 세부 분야: 내분비생리학, 세포신호전달, 유전자 조절 메커니즘, 세포 내 대사 조절 [대표 연구 내용] 김상훈 교수는 동물세포의 생리적 기능과 신호전달 기전을 분자 및 세포 수준에서 규명하는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내분비계 조절과 유전자 발현 변화가 생리적 항상성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호르몬 반응 및 대사 관련 유전자 네트워크에 대한 기초적 이해를 바탕으로 생명현상의 통합적 해석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미국 UC Davis 방문교수 및 여러 국제 학회 활동을 통해 지속적으로 연구 성과를 확장해오고 있습니다.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