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민
조영민
소속
경희대학교 (환경학및환경공학과)
AI요약
경희대학교 환경학및환경공학과 조영민 교수는 대기오염 및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혁신적인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세먼지 포집을 위한 자성 집진 장치, 이산화탄소 선택적 포집용 흡착제, 그리고 유해가스 분해 및 항균 성능을 갖춘 다기능성 나노섬유 등 환경 개선에 기여하는 다수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본 콘텐츠는 조영민 교수의 주요 연구 분야와 특허 기술을 상세히 소개하여, 미래 환경 기술 발전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돕고자 합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 ![]() |
연구자 명 | 조영민 |
직책 | 교수 |
이메일 | ymjo@khu.ac.kr |
재직 상태 | 재직 중 |
소속 | 경희대학교 |
부서 학과 | 환경학및환경공학과 |
사무실 번호 | 0312012485 |
연구실 | 경희대학교 환경학 및 환경공학과, 그린환경종합센터 |
연구실 홈페이지 | - |
홈페이지 | - |
중요 키워드
#여과필터#액체 미립화#VOCs#오존전구물질#실내 공기질#미세분진 포집#휘발성유기화합물#자성 집진#나노섬유#이산화탄소 포집#PM2.5#AlH3 제조#폐석탄회 흡착제#건식 흡착제#미세먼지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내용 | [연구 분야] 생활밀착형 사업장에서 사용되는 유기용제로부터 배출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의 오존전구물질 목록화 및 오존생성 기여도 평가 도심 초등학교 교실 내 미세먼지 특성 연구 및 공기질 평가 [대표 연구 내용] 문제 정의: 미세먼지가 1군 발암물질이며 성장기 아동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큼에도 불구하고, 학교 환경의 특성상 장기간 연구가 어렵고 '활동상황 미간섭' 상태에서의 평소 일과에 따른 오염 정도를 파악하는 심층적인 연구가 부족했습니다. 기술 우위: 본 연구는 서울 서초구와 동작구가 교차하는 교통량 많은 도심 지역 내 초등학교 5곳의 교실 및 운동장을 대상으로 3개월간 연속 측정 및 시료 채취를 수행했습니다. 특히, 수업 형태, 학생 움직임, 창문 개폐, 환기 및 공기정화장치 가동 등 실제 학교 활동을 자유롭게 운영하면서 미세먼지 농도와 화학적 특성(이온, 중금속, 탄소성분)을 분석하여 현실적인 학교 공기질 평가 데이터를 확보했습니다. 실내외 미세먼지 발생원과 화학적 조성을 상세하게 규명하여 복합적인 미세먼지 특성을 파악했습니다. 사업 가치: 본 연구는 도심 지역 학교의 실내외 미세먼지 특성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학생 및 교사의 미세먼지 노출을 최소화하고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실질적인 학교 공기질 개선 방안 및 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특히, 실내 활동 및 외부 유입에 따른 미세먼지 특성 변화 분석은 학교 맞춤형 환기 시스템 개발 및 공기청정기 배치 전략 수립 등 구체적인 기술 사업화 기회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