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창덕
양창덕
소속
울산과학기술원 (에너지화학공학과)
AI요약
울산과학기술원 에너지화학공학과 양창덕 교수는 차세대 에너지 소자 개발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기존 에너지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효율과 안정성을 높이는 혁신적인 재료 개발이 시급한 과제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양창덕 교수는 태양전지용 정공 수송 재료, 리튬 이차전지용 바인더, 무흐름 아연-할로겐 전지용 전해액, 그리고 그래핀 제조 방법 등 다양한 에너지 핵심 소재 특허를 통해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에너지 효율 증대 및 소자 안정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 ![]() |
연구자 명 | 양창덕 |
직책 | 교수 |
이메일 | yang@unist.ac.kr |
재직 상태 | 재직 중 |
소속 | 울산과학기술원 |
부서 학과 | 에너지화학공학과 |
사무실 번호 | 0522172920 |
연구실 | 신유기광전자 재료 합성 연구실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yang.unist.ac.kr/ |
홈페이지 | https://yang.unist.ac.kr/ |
경력정보
회사명 | 효성 연구소 |
재직기간 | - |
담당업무 | 연구원 |
회사명 | UC Santa Barbara |
재직기간 | - |
담당업무 | 박사후 연구원 |
회사명 | Georgia Tech |
재직기간 | - |
담당업무 | 방문 연구 교수 |
회사명 | 울산과학기술원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
재직기간 | - |
담당업무 | 부교수 |
중요 키워드
#고분자 화학#전력제어#리튬 이차 전지#그래핀#아연-할로겐 전지#유기 전자재료#전력변환#페로브스카이트#에너지 하베스팅#신소재 화학#PBDTTT 고분자#유기 반도체#초분자 화학#태양전지#정공 수송 재료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내용 | [연구 분야] 유기 전자재료, 초분자 화학 및 전자 재료, 고분자 화학, 신소재 화학 [대표 연구 내용] 문제 정의: 기존 유기 태양전지 및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성능 및 안정성 한계를 극복하고, 고효율 및 유연성을 갖는 차세대 에너지 소자 개발이 필요합니다. 또한, 전하 이동도를 획기적으로 높이는 유기 반도체 소자의 개발은 고성능 전자 기기 구현의 핵심 과제입니다. 기술 우위: 양창덕 교수는 풀러렌을 사용하지 않는 유기 태양전지 개발 및 메커니즘 규명, 100번 접어도 효율을 유지하는 고유연성 유기 태양전지 개발 (실리콘 기반 고분자에 특정 물질 소량 첨가), 전하 이동도를 획기적으로 높인 유기 반도체 소자 개발 (위치 불규칙성 고분자의 3차원 구조 관점 해석) 등 혁신적인 연구 성과를 창출했습니다. 특히, 태양 전지용 정공 수송 재료 개발을 통해 기존 재료 대비 우수한 성능과 안정성을 확보하였으며, 무흐름 아연-할로겐 전지용 기능성 전해액 및 리튬 이차 전지용 바인더 개발을 통해 차세대 배터리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그래핀 제조 방법 및 PBDTTT 기반 고분자 제조 방법을 통해 신소재 분야에서도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사업 가치: 개발된 고효율/고안정성 태양전지 및 유연 태양전지는 차세대 에너지 시장에서 높은 경쟁력을 가지며, 건물 일체형 태양광(BIPV), 웨어러블 전자기기 등 다양한 응용 분야로 확장될 수 있습니다. 고성능 유기 반도체 소자는 디스플레이, 센서, 인공지능 반도체 등 첨단 전자 산업의 발전을 가속화할 것입니다. 또한, 차세대 배터리 및 신소재 기술은 전기차, 에너지 저장 장치 등 미래 산업의 핵심 기술로 성장하여 막대한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학력
학력 사항 | Max-Planck Institute for Polymer Research 박사 충남대학교 석사 충남대학교 학사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