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김봉수

김봉수

소속

울산과학기술원 (화학과)

AI요약

김봉수 울산과학기술원 화학과 부교수님의 연구 프로필입니다. 김 부교수님은 차세대 유기전계발광소자(OLED), 양자점, 페로브스카이트 발광 소자 및 전자 소자용 핵심 소재 개발에 매진하고 계십니다. 특히, 신규 유기 반도체 화합물, 이리듐 화합물, 그리고 삼성미래기술센터 지원으로 개발된 'Universal 3D Crosslinker' 등 혁신적인 3차원 가교제 분야에서 다수의 특허를 보유하며 이 분야 기술 발전을 선도하고 계십니다. 본 프로필을 통해 김봉수 부교수님의 독보적인 연구 성과와 최신 특허 정보를 상세히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김봉수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김봉수
직책부교수
이메일bongsoo@unist.ac.kr
재직 상태재직 중
부서 학과화학과
사무실 번호82522173197
연구실고분자/유기반도체 연구실
연구실 홈페이지https://chemistry.unist.ac.kr/kim-bongsoo/
홈페이지https://chemistry.unist.ac.kr/kim-bongsoo/
소속울산과학기술원

경력정보

회사명UNIST
재직기간2018.08.01 ~ 재직 중
담당업무화학과 부교수
회사명이화여자대학교
재직기간2015.03.01 ~ 2018.07.31
담당업무과학교육과 조교수
회사명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재직기간2014.03.01 ~ 2015.02.28
담당업무광전자하이브리드연구센터 책임연구원
회사명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재직기간2010.12.01 ~ 2014.02.28
담당업무광전자하이브리드연구센터 선임연구원
회사명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재직기간2008.11.01 ~ 2010.11.30
담당업무화학과 박사후 연구원

중요 키워드

#플렉서블일렉트로닉스#전자소자#트랜지스터#나노기술#유기태양전지#3D가교제#재료과학#페로브스카이트#신소재#유기반도체#OLED#광패터닝#에너지소자#화학#첨단소재

연구 분야

연구 1유기/전자 소자용 핵심 소재 개발
내용김봉수 교수는 차세대 유기전계발광소자(OLED), 양자점, 페로브스카이트 발광 소자 및 다양한 전자 소자용 핵심 소재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광전자 소자에 필수적인 공액 고분자 및 저분자 유기반도체 소재의 설계, 합성, 고순도화 및 분자량 최적화 연구를 수행합니다. 특히 신규 유기 반도체 화합물 및 이리듐 화합물을 개발하여, 유기반도체 화합물의 에너지 준위, 밴드갭, 전하이동도, 결정성, 모폴로지 등의 특성을 정밀하게 제어합니다. 이러한 소재 제어 기술을 통해 전자소자의 성능 향상 및 수명 연장을 목표로 하며, 고성능 유기 트랜지스터 구현에 기여하는 "Highly Stretchable, High-Mobility, Free-Standing All-Organic Transistors"와 "Highly Planar Fluorinated Benzothiadiazole-Based Conjugated Polymer for High-Performance Organic Thin-Film Transistors" 같은 혁신적인 연구 성과를 발표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미래 디스플레이 및 유연 전자소자 기술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연구 23차원 가교제 및 광패터닝 기술
내용김봉수 교수는 플렉서블 일렉트로닉스 구현을 위한 핵심 기술인 혁신적인 3차원 가교제 개발 및 이를 활용한 광패터닝 기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삼성미래기술센터의 지원을 받아 개발된 'Universal 3D Crosslinker'는 유연하고 신축성 있는 전자소자를 제작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다수의 특허를 통해 그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 기술을 통해 광패터닝 공정으로 다양한 전자 소자를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이는 차세대 웨어러블 기기 및 유연 전자 제품의 상용화를 앞당기는 데 기여합니다. 주요 연구 성과로는 "Universal Three-Dimensional Crosslinker for All-Photopatterned Electronics" (Nat. Commun., 2020)와 "All-Photopatterned, Fully Stretchable Ion Gel-Gated Transistor Array Based on Flexible Photo-Crosslinker" (2021) 등이 있으며, 이를 통해 유연하고 고성능의 전자소자 개발 분야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연구 3고효율 유기/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내용본 연구실은 차세대 신재생에너지 기술인 유기태양전지 및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고효율화 및 고안정화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저밴드갭 고분자의 합성 및 비풀러렌 수용체(non-fullerene acceptors)의 비대칭 화학 구조 최적화, 할로겐화를 통한 전하 수송 효율 증대 및 소자 안정성 확보에 기여합니다. 또한, 분자 가교(molecular cross-linking) 기법을 도입하여 유기 태양전지의 장기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있습니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분야에서는 페로브스카이트/유기 탠덤 태양전지에서 2.2V 이상의 높은 개방전압을 달성했으며, 자가 조립 단분자막(SAM)을 활용한 고효율/고안정성 역구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개발에도 성공했습니다. "Exceeding 2.2 V Open-Circuit Voltage in Perovskite/Organic Tandem Solar Cells" (Advanced Energy Materials, 2025) 및 "Molecular Cross-Linking Enhances Stability of Non-Fullerene Acceptor Organic Photovoltaics" (ACS Energy Letters, 2024) 등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 성과를 통해 미래 에너지 전환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학력

학력 사항박사 University of Minnesota (Twin Cities) Materials Chemistry (2008) 석사 Korea University Organic/Polymer Chemistry (2002) 학사 Korea University Chemistry (2000)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