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김우식

김우식

소속

경희대학교 (화학공학과)

AI요약

경희대학교 화학공학과 김우식 교수는 결정화 및 분리 기술 분야의 독보적인 전문가입니다. 교수님은 리튬 이차전지 양극 활물질 전구체, 의약품 원료, 자일렌 이성질체 등 다양한 핵심 물질의 제조 및 분리 효율을 혁신적으로 개선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와류 반응장치 및 용해도 조절 기술을 활용하여 고순도 거대 결정 입자를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방법론을 제시하며, 이는 화학 공정의 생산성 향상과 고부가가치 소재 개발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김우식 교수의 연구 성과는 산업 전반에 걸쳐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김우식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김우식
직책교수
이메일wskim@khu.ac.kr
재직 상태재직 중
부서 학과화학공학과
사무실 번호0312012529
연구실결정기능화공정기술센터(ERC)
연구실 홈페이지-
홈페이지https://chemeng.khu.ac.kr/chemeng/user/bbs/BMSR00047/list.do?menuNo=17600020&pageIndex=1&searchCategory=&pageUnit=&searchCondition=&searchKeyword=%EA%B9%80%EC%9A%B0%EC%8B%9D
소속경희대학교

경력정보

회사명경희대학교
재직기간재직 중
담당업무화학공학과 교수
회사명영남대학교
재직기간-
담당업무산학연구처장 겸 산학협력단장
회사명산업통상자원 R&D전략기획단
재직기간재직 중
담당업무에너지산업 MD
회사명국제에너지기구
재직기간재직 중
담당업무태양광발전분과 Task 1 한국대표
회사명지식경제부
재직기간-
담당업무태양광 PD
회사명NURI 사업단
재직기간-
담당업무NURI 사업단장
회사명한국안전보건공단
재직기간-
담당업무사외강사
회사명롯데비피화학(주)
재직기간-
담당업무안전환경팀장

중요 키워드

#기술이전#결정화 기술#리튬 이차전지#나노입자 제조#태양전지 소재#PSM#에너지 산업#화학공학#산학협력#아데포비어 디피복실#양극 활물질#분리 기술#와류 반응장치#제약 결정화#자일렌 분리

연구 분야

연구 1결정화 및 분리 공정 혁신
내용본 연구실은 결정화 및 분리 기술 분야의 독보적인 전문성을 바탕으로 화학 공정의 효율을 혁신적으로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리튬 이차전지 양극 활물질 전구체, 의약품 원료, 자일렌 이성질체 등 다양한 핵심 물질의 제조 및 고순도 분리 효율을 극대화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주요 기술로는 와류 반응장치와 용해도 조절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 공정으로는 달성하기 어려웠던 고순도 거대 결정 입자를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독창적인 방법론을 제시합니다. 이 기술은 결정 형성 메커니즘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원하는 물성을 가진 고품질 물질을 얻는 데 탁월한 차별성을 가집니다. 이러한 연구는 제약, 에너지, 정밀화학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고품질 소재 생산을 가능하게 하여 실질적인 가치를 창출합니다. 생산성 향상과 고부가가치 소재 개발에 크게 기여하며, 기술 이전 및 사업화를 통해 산업 전반에 혁신적인 해결책과 경제적 파급효과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연구 2리튬 이차전지 핵심 소재 결정화
내용본 연구실은 차세대 리튬 이차전지의 고성능화를 위한 핵심 소재인 양극 활물질 전구체의 결정화 기술 혁신에 집중하여 연구를 수행합니다. 고용량, 고안정성 전지 구현에 필수적인 고순도, 균일한 입자 크기와 형상을 가진 전구체 제조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와류 반응장치와 정교한 용해도 조절 기술을 결합하여, 기존 방식의 한계를 뛰어넘는 거대 결정 입자를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원천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전구체 합성 공정의 생산성을 극대화할 뿐만 아니라,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 및 수명 향상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핵심적인 차별성을 가집니다. 이러한 연구는 전기차, 에너지 저장장치(ESS) 등 급성장하는 리튬 이차전지 산업의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며, 차세대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발전에 필수적인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관련 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실용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국가 산업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연구 3고부가가치 화학 제품 정제 및 분리
내용김우식 교수 연구팀은 고순도 의약품 원료 및 정밀화학 제품의 효율적인 분리 및 정제 기술 개발에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합니다. 의약품 합성에 필수적인 고순도 물질 확보는 물론, 자일렌 이성질체와 같은 정밀화학 분야의 핵심 중간체 분리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주요 기술은 와류 반응장치 및 용해도 제어와 같은 독자적인 결정화 기술을 활용하여,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목표 물질의 순도를 획기적으로 높이는 공정 설계에 강점을 가집니다. 이 방법론은 기존의 재래식 분리 기술 대비 에너지 효율적이며 환경 친화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차별성을 갖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제약 산업에서 신약 개발 및 생산 비용 절감에 기여하며, 정밀화학 분야에서는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을 위한 핵심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본 연구는 정밀한 분리 공정을 통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생산 단가를 낮춤으로써 관련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지속 가능한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대외활동

활동 내용[기술 자문/이전] - 연구 결과 국내 기업 기술 이전 및 사업화 추진 - 미국 코넬대 및 MIT 등과 협력 연구 진행 - 50여 건의 국내외 특허 출원 - 기업체 재직자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도레이첨단소재 산학협동대학원, 삼성SDI EMTA과정, LG실트론 사원재교육) - 한국안전보건공단 사외강사 및 롯데비피화학 안전환경팀장으로서 안전 관련 기술 지도 및 전파 [학회/위원회 활동] - 독일 뮌헨공업대학교, 미국 미네소타대학교, 코넬대학교 방문교수 - 경희대학교 연구처장 역임 - 한국화학공학회 학회장 역임 (2018년) - 한국화학공학회 학술부회장 역임 (2015년) - 한국공학한림원 정회원 (2015년부터 활동 중) - 한국태양광발전학회 회장 역임 (2017년) - Asian-Pacific Confederation of Chemical Engineering Board Director - Nanosci Nanotech Letter Associate Editor - 한국과학기술총연합회 학술진흥위원 - 한국연구재단 BK21 Plus 핵심사업팀장 - 한국화학공학회 분리기술부문위원회 위원장 - 한국연구재단 공학단 책임전문위원 - 다양한 국제학술대회 학술 및 조직위원 역임 [수상 내역] - 미래창조과학부 과학기술자상 수상 -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2013) -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2012) - 과학기술공로자 국무총리 표창 (2009) - 신기술인증 (2008) - 과학기술훈장 도약장 수여

학력

학력 사항박사 University of Florida 화학공학 (1992) 석사 서울대학교 화학공학 (1983) 학사 한양대학교 화학공학 (1981)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