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병훈
조병훈
소속
경상국립대학교 (생명과학부)
AI요약
경상국립대학교 생명과학부 조병훈 교수는 효소공학 분야의 선도적인 연구자입니다. 폐플라스틱 문제 해결을 위한 PET 분해 효소의 고정화 및 안정성 강화 기술,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이산화탄소(CO2) 전환 공정 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효소의 열 안정성과 발현량을 증진시키는 재조합 단백질 기술 및 친환경 생촉매 개발에 대한 다수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조병훈 교수의 연구는 환경 문제 해결과 지속 가능한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혁신적인 해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그의 주요 연구 성과와 특허를 본 프로필에서 상세히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 ![]() |
연구자 명 | 조병훈 |
직책 | 부교수 |
이메일 | jobh@gnu.ac.kr |
재직 상태 | 재직 중 |
소속 | 경상국립대학교 |
부서 학과 | 생명과학부 |
사무실 번호 | 0557721321 |
연구실 | Molecular Biotechnology & Bioe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sites.google.com/site/mbbgnu |
홈페이지 | https://sites.google.com/site/mbbgnu/professor?authuser=0 |
경력정보
회사명 | 경상대학교 |
재직기간 | - |
담당업무 | - 경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부교수 (2020~) - 경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조교수 (2016-2020) |
회사명 | 포항공과대학교 |
재직기간 | - |
담당업무 | -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화학공학과 박사후연구원 (2014-2016) -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화학공학과 연구조교수 (2016) |
중요 키워드
#탄소 포집#융합 태그#단백질 엔지니어링#PET 분해 효소#열 안정성#지속가능 기술#고정화 효소#이산화탄소 전환#바이오 플라스틱#환경 기술#생촉매#효소 공학#폐기물 처리#산업 바이오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내용 | [연구 분야] 핵심 분야: 산업 효소 공학 및 단백질 엔지니어링 세부 분야: PET 분해 효소, 이산화탄소 전환 효소, 생촉매 안정화 및 발현 최적화, 단백질 수용성 증진 기술 [대표 연구 내용] 플라스틱 오염과 이산화탄소 배출은 전 지구적 환경 문제입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한 지속 가능한 기술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특히 고효율의 생체 촉매(효소) 개발은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본 연구는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분해 효소와 이산화탄소 전환 효소의 안정성 및 활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데 중점을 둡니다. 기존 효소 기술의 한계점인 낮은 안정성(특히 고온 및 고염 환경)과 낮은 발현 효율을 극복하기 위해, 효소의 이황화결합 엔지니어링, 실리카 나노입자를 이용한 고정화 기술, 그리고 고효율 융합 태그 개발 등 다양한 단백질 엔지니어링 전략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개발된 PETase 변이체는 열 안정성이 크게 증가하여 폐PET의 생분해 효율을 높이며, 탄산무수화효소 변이체는 고온 및 고염 환경에서도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전환에 효과적으로 작용합니다. 이러한 기술은 산업 현장에서 효소의 재사용성 및 경제성을 증대시켜 실제 적용 가능성을 높입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고안정성, 고효율 효소 시스템은 폐플라스틱 재활용, 탄소 포집 및 활용(CCU) 등 환경 산업 분야에서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존 화학 공정을 대체하며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환경 부하를 줄이는 데 기여하며, 관련 산업의 성장과 경쟁력 강화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사업적 가치를 지닙니다. |
학력
학력 사항 | - 학사: 연세대학교 생명공학과, 공학사(2008) - 박사: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시스템생명공학부, 공학박사(2014)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