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범
이재범
소속
충남대학교 (화학과)
AI요약
이재범 충남대학교 화학과 교수님의 상세 프로필을 소개합니다. 본 페이지는 교수님의 주요 학력, 경력, 연구 분야 및 관련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교수님의 전문성을 탐색하고 연구 활동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찾으시는 분들께 유용한 자료가 될 것입니다. Kotech Hub는 사용자들에게 신뢰할 수 있는 최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 ![]() |
연구자 명 | 이재범 |
직책 | 교수 |
이메일 |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소속 | 충남대학교 |
부서 학과 | 화학과 |
사무실 번호 | 0428216553 |
연구실 | 나노소재화학연구실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nanoleelab.wixsite.com/homepage |
홈페이지 | - |
경력정보
회사명 | 충남대학교 |
재직기간 | 2018.08.31 ~ 재직 중 |
담당업무 | 화학과 교수 |
회사명 | 부산대학교 |
재직기간 | 2006.12.31 ~ 2018.08.31 |
담당업무 | 나노메디컬공학과 / 광메카트로닉스공학과 교수 |
회사명 | 미국 미시간 대학 |
재직기간 | 2002.12.31 ~ 2006.12.31 |
담당업무 | 화학공학과 박사후 연구원 (Kotov그룹) |
중요 키워드
#바이오센서#나노기술#알츠하이머병#골다공증#생명공학 응용#중금속 흡착#화학공학#수산화인회석#결핵#나노입자#재료과학#차세대 디스플레이#자기 플라즈모닉 물질#바이러스#뇌 영상
대외활동
활동 내용 | [프로젝트/사업 참여] - World Class University (WCU) 프로젝트 디렉터 - Brain Korea (BK) 21 나노융합기술 부디렉터 -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지원 사업 공동연구 (충남대 박진해 교수, 중국 국가나노연구중심 당지용 교수) |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내용 | [연구 분야] - 바이오센서 (알츠하이머병, 결핵, 바이러스 진단) - 뇌 영상용 나노입자 합성 - 골다공증 치료를 위한 수산화인회석 - 생체 의료 응용을 위한 자기 플라즈모닉 물질 - 금속/자성입자 합성, 마그네토플라즈모닉 양자역학, 나노입자 자가조립, 2D 물질 - 전산모사 (COMSOL/DFT/MD), 전기화학 촉매, 배터리/수퍼케패시터 - 초정밀 화합물/바이오 센싱 플랫폼 개발 - 카이럴 나선형 자성광학을 이용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원천기술 개발 [대표 연구 내용] '카이럴 나선형 자성광학 기반 차세대 디스플레이 원천기술 개발' 문제 정의: 기존 디스플레이 기술의 한계를 넘어선 차세대 홀로그램 및 3D 디스플레이 구현을 위한 핵심 재료 기술의 부재. 특히, 빛의 파장을 실시간으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 증대. 기술 우위: 금속·자성 입자와 카이럴 자기장을 활용하여 빛의 파장을 밀리초(1000분의 1초) 단위로 실시간 조절하는 초고속 모듈레이터 개발에 성공했습니다. 이는 금속 나노물질의 공간 내 배열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흡수광을 조절하는 물리적 현상에 착안한 것으로, 가시광선 전 영역에서 광학활성을 제어한 첫 사례입니다. 특히, 나선형 자기장을 인위적으로 생성하여 3밀리초 수준에서 나노물질의 공간 내 구조 변형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존 기술 대비 압도적인 제어 속도와 정밀도를 제공합니다. 사업 가치: 구현된 실시간 플라즈몬 광학활성 조절 기술은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3D 디스플레이 개발의 핵심 재료인 메타액정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이는 차세대 디스플레이(MLCD) 시장에서 핵심 원천 기술로 작용하여, 미래 디스플레이 산업의 혁신을 이끌고 막대한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2차원 나노 뗏목형 'α-FeOOH 구조' 기반 중금속 흡착 제거제 개발' 문제 정의: 환경 오염의 주요 원인인 수중 중금속 이온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고성능 흡착제 개발의 필요성. 기술 우위: 초박형 나노와이어로 구성된 폴리에틸렌이민(PEI)을 이용하여 2차원 나노 뗏목형 'α-FeOOH 구조'를 수열 합성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 기술은 기존 중금속 제거 기술 대비 높은 흡착 효율과 안정성을 보장하며, 환경 친화적인 방식으로 수질 정화를 가능하게 합니다. 사업 가치: 개발된 중금속 흡착 제거제는 산업 폐수 처리, 음용수 정화 등 다양한 환경 정화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며, 환경 규제 강화에 따른 시장 수요 증가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큰 사업적 파급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
학력
학력 사항 | 영국 로버트 고든 대학 화학 전공 (2003) 충남대학교 화학과 (1998)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