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미수

이미수

소속

인천대학교 (생명과학부)

AI요약

인천대학교 생명과학부 이미수 부교수님은 간암 및 다양한 종양 치료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를 선도하고 계십니다. 기존 간암 치료제인 소라페닙의 내성 문제를 극복하고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히스티딘 병용 요법, SIRT3 활성 조절을 통한 항암 효과 증진 조성물 개발에 주력하셨습니다. 또한, miR-16-5p 및 소마토스타틴 유사체를 활용하여 종양 예방 및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셨습니다. 이와 같은 다수의 특허 등록을 통해 암 치료 분야에 크게 기여하고 계십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이미수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이미수
직책부교수
이메일misulee@inu.ac.kr
재직 상태재직 중
소속인천대학교
부서 학과생명과학부
사무실 번호0328358091
연구실신약개발연구소
연구실 홈페이지-
홈페이지https://molbio.inu.ac.kr/molbio/4993/subview.do

중요 키워드

#바이오마커#소마토스타틴#항암제 내성#분자 표적 치료#히스티딘#항암 조성물#SIRT3#종양 치료#간암 치료#소라페닙#약물 병용 요법#miR-16-5p

대외활동

활동 내용<저서> 세포의 세계, 교문사 , 2023.08.28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내용[연구 분야] 암 치료 및 예방 항암제 내성 극복 연구 분자 표적 항암 치료 종양 생물학 약물 재창출 [대표 연구 내용] 문제 정의: 기존 간암 치료제인 소라페닙의 내성 문제와 암 치료의 한계를 극복하고, 더욱 효과적인 암 예방 및 치료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술 우위: - 히스티딘 병용 요법: 대표적인 간암 치료제인 소라페닙의 내성을 극복하고 약물 감수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히스티딘과의 병용 투여 요법을 개발했습니다. 이는 소라페닙 단독 투여의 한계를 보완하여 치료 효과를 극대화합니다. - SIRT3 기반 항암 기전: 암, 특히 간세포암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소라페닙 내성을 억제하고 치료 민감성을 향상시키는 조성물을 개발했습니다. SIRT3와 CDK4/6 간의 음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SIRT3 발현 저하 또는 기능 이상을 원인으로 하는 질환의 치료제 후보 물질을 신속하게 탐색할 수 있는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합니다. - miR-16-5p 및 소마토스타틴 유사체 활용: 소마토스타틴 수용체(SSTR) 발현을 조절하는 miR-16-5p와 소마토스타틴 유사체를 포함하는 종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개발했습니다. 이는 종양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며 내성에 강한 특징을 보입니다. 사업 가치: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조성물 및 치료 방법들은 기존 항암 치료의 한계를 극복하고 암 환자의 생존율과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혁신적인 대안을 제시합니다. 특히, 약물 내성을 극복하고 치료 민감성을 높이는 기술은 신약 개발 및 기존 약물의 가치 증대 측면에서 높은 사업적 잠재력을 가집니다. 맞춤형 치료 및 효율적인 치료제 탐색에 기여하여 제약 및 바이오 산업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학력

학력 사항2011.08.02 Technische Univ. Muenchen (이학박사) 2004.08.17 광주과학기술원 (이학석사) 2002.02.20 경희대학교 (이학사)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