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김용성

김용성

소속

아주대학교 (분자과학기술학과)

AI요약

아주대학교 분자과학기술학과 김용성 교수는 혁신적인 항체 공학 및 면역 치료제 개발 분야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암, 감염병 등 다양한 질병에 대한 새로운 치료 전략을 모색하며, 특히 SARS-CoV-2 중화 항체, 이중 특이성 항체, 세포 투과 항체, 면역독소 연구를 통해 탁월한 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세포 내 약물 전달 효율을 높이는 기술, 단백질 공학, 효모 표면 발현 시스템 등 폭넓은 연구 주제를 다루며 생명과학 및 의약 분야의 복잡한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국제 학술지에 70편이 넘는 주요 논문을 발표하며 학술적 역량과 영향력을 입증하고 있으며, 그의 연구는 차세대 치료제 개발에 필수적인 기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김용성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김용성
직책교수
이메일kimys@ajou.ac.kr
재직 상태재직 중
소속아주대학교
부서 학과분자과학기술학과
사무실 번호0312192662
연구실아주대학교 항체공학 연구실
연구실 홈페이지http://antibody.ajou.ac.kr/
홈페이지https://antibody.ajou.ac.kr/members

경력정보

회사명아주대학교
재직기간2004.03.01 ~ 재직 중
담당업무아주대학교 부임 (21년간 바이오 분야 발전 및 우수 인재 양성 헌신) 첨단바이오융합대학 초대 학장 역임 대학원 분자과학기술학과 학과장 역임 4단계 BK21 사업 교육연구단 단장 역임 2개 바이오 기업 설립 기여

중요 키워드

#기술이전#단백질 공학#중개연구#항체 치료제#의약품 개발#전임상#임상연구#이뮤노싸이토카인#항체 라이브러리#항체 공학#생명공학#면역항암제#세포질 침투 항체#이중항체#바이오기업

대외활동

활동 내용[기술 자문/이전] - 2개 바이오 기업 설립 기여 [학회/위원회 활동] - 4단계 BK21 사업 교육연구단 단장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내용[연구 분야] 핵심 분야: 항체 공학, 항체 치료제, 면역항암제, 단백질 공학 세부 분야: 혁신적인 차세대 항체치료제 플랫폼 기술 개발, 항체 기반 면역항암제 개발 [대표 연구 내용] 문제 정의: 실제 전임상/임상에 적용 가능한 항체 및 항체 기반 면역항암제 개발의 필요성 증대 기술 우위: - 세포질 침투 항체 원천기술 및 파생기술 개발을 통해 기존 항체의 한계를 극복하고 치료 효능을 극대화 - 이뮤노싸이토카인 및 이중항체 개발을 통해 난치성 질환에 대한 새로운 치료 전략 제시 - 항체/immunocytokine/immuotoxin의 세포 및 동물 수준(CDX, PDX 모델)에서의 정밀한 유효성 평가 시스템 구축 및 활용 - 항체 라이브러리 기반의 신규 항체 선별 및 개량 기술 보유로 맞춤형 치료제 개발 가속화 - 아주대학교 의과대학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임상 샘플에서의 효능 평가를 수행하며 중개 연구 역량 강화 사업 가치: - 다수의 원천기술 개발 및 국내·외 기업과의 총 10건의 성공적인 기술이전을 통해 검증된 상업화 잠재력 - 개발 중인 혁신 항체 치료제 및 면역항암제는 미충족 의료 수요가 높은 분야에서 상당한 시장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