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김선국 조교수는 차세대 전자 소자 개발을 위해 가변렌즈용 고유연 광전자 나노소자, 2D 나노 판상 트랜지스터 회로를 이용한 고효율 저전력 투명 유연 디스플레이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고성능 황 화합물계 반도체 백플레인 및 유무기 하이브리드 EL 소재/소자 원천 기술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투명 전극 반도체 장치, 광증폭 포토트랜지스터 기반 디스플레이 패널 및 차량 제어 시스템, 전이금속 칼코겐화합물 박막 트랜지스터, 멀티 채널 웨어러블 센서 및 철근 콘크리트 열화 인자 모니터링 시스템 등의 특허 기술을 통해 플렉서블 디바이스 및 스마트 센싱 분야의 발전을 이끌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고성능, 저전력, 유연성을 갖춘 미래형 전자 소자 및 정밀 센서 시스템 구현에 중요한 학문적, 기술적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김선국 |
| 직책 | 조교수 |
| 이메일 | seonkuk@khu.ac.kr |
| 재직 상태 | 퇴직 |
| 부서 학과 | 전자공학과 |
| 사무실 번호 | 0312013464 |
| 연구실 | -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khueredep.hicompint.com/index.php?hCode=MEMBERS_LIST&gubun=P |
| 홈페이지 | - |
| 소속 | 경희대학교 |
| 회사명 | 성균관대학교 신소재공학부 |
| 재직기간 | 2017.01.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나노/바이오 전자 소자, 플렉서블/스트레처블 전자 소자, RF 소자, 나노/바이오 센서, 디스플레이 연구 주도. 오감증강 전자소자 시스템, 차세대 2차원 나노판상 물질, 가변렌즈용 나노광전자 이미지센서, 스마트 센서 등 다양한 첨단 기술 연구 및 개발에 기여. |
| 회사명 | 경희대학교 전자공학과 |
| 재직기간 | 2012.01.01 ~ 2017.12.31 |
| 담당업무 | 전자·전파공학과 조교수로서 교육 및 연구 수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고유연 광전자 나노소자, 2D 나노 판상 트랜지스터 회로 기반 디스플레이, 황 화합물계 반도체 백플레인, 유무기 하이브리드 EL 소재/소자 개발 등 다수의 국가 연구과제 참여 및 기술 개발 주도. |
| 회사명 | 삼성종합기술원 디스플레이랩 |
| 재직기간 | 2009.01.01 ~ 2012.12.31 |
| 담당업무 |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재 및 소자 기술 연구 및 개발 책임. 디스플레이 기술 상용화에 기여. |
| 회사명 | Intel |
| 재직기간 | 2008.01.01 ~ 2009.12.31 |
| 담당업무 | 반도체 및 전자 소자 연구 개발. 첨단 기술 동향 분석 및 신기술 적용 방안 모색. |
| 연구 1 | 유연/신축성 전자소자 및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
| 내용 | 본 연구는 플렉서블 및 스트레처블 전자소자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둡니다. 나노 판상 트랜지스터 회로를 이용한 고효율 저전력 투명 유연 디스플레이 개발, 대면적 나노 디바이스 기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연구를 통해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상용화를 위한 핵심 원천 기술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특히, 가변렌즈용 고유연 광전자 나노소자 연구 및 고성능 황 화합물계 반도체 백플레인 기술은 디스플레이의 성능과 유연성을 동시에 혁신하는 데 기여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웨어러블 기기, 투명 디스플레이, 곡면 디스플레이 등 미래형 전자제품 시장을 선도할 잠재력을 가집니다. |
| 연구 2 | 나노/바이오 센서 및 스마트 센서 시스템 |
| 내용 | 나노기술을 활용한 고감도 바이오 센서 및 스마트 센서 시스템 개발은 본 연구의 중요한 축입니다. 오감증강 전자소자 시스템 구현을 목표로 응급상황 모니터링 센서시스템, 웨어러블 심박기, 인공눈 등 다양한 응용 분야를 탐색합니다. 또한, 가스센서, 바이오센서, 이미지센서, 온도센서, 부식센서 등 다기능 스마트 센서 개발을 통해 환경 모니터링, 헬스케어, 구조물 진단 등 광범위한 산업 분야에 적용 가능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철근 콘크리트 부식 열화 인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를 통해 구조물 안전 진단 및 식물 가뭄 모니터링 분야에서도 혁신적인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
| 연구 3 | 2차원 나노 물질 기반 반도체 소자 |
| 내용 | 차세대 고이동도 2차원 나노 판상 물질(MoS2, MoSe2) 개발은 본 연구실의 핵심 역량 중 하나입니다. 전이금속 칼코겐화합물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을 연구하여 고성능 반도체 소자 구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다층 전이금속 칼코겐화합물을 이용한 투명 전자소자 및 광전자 소자 개발은 기존 반도체 소자의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이러한 2차원 나노 물질 기반 기술은 고집적, 저전력, 유연성을 갖춘 차세대 전자 기기 개발에 필수적인 기반 기술이 되며, 특히 디스플레이 백플레인 및 고성능 로직 소자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
| 활동 내용 | [수상 내역] - 2015년 젊은 과학자상 수상 (미래창조과학부,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학회/위원회 활동] - 2017년 현재 한국차세대과학기술원 한림원 정회원 - 2016 한국건설관리학회 정기학술발표대회 ICT 기반 내구성 진단 주제 초청 논문 발표 |
| 학력 사항 | Purdue University 전자공학과 공학박사 (2009) 고려대학교 물리학과 학사 (2002)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