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배진우 교수는 미생물 생태학 및 유전체학 분야의 전문가로, 장내 미생물과 환경 미생물의 기능 분석 및 제어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우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장내 미생물 조절 기술과 식중독 유발 살모넬라균에 특이적인 사멸능을 가진 박테리오파지를 활용한 식품 안전 및 질병 제어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메타게놈 분석 기술을 통해 담수호 바이러스 및 전통 발효식품의 미생물 군집을 규명하고, 환경정화용 미생물의 안전성 관리 기법을 개발하며 다양한 미생물 자원 확보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첨단 분자생물학적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미생물 군집의 역학적 변화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통해 축산 분야 생산성 증대, 식품 안전성 확보, 환경 정화 및 생명 공학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배진우 |
| 직책 | 교수 |
| 이메일 | baejw@khu.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생물학과 |
| 사무실 번호 | 029612312 |
| 연구실 | 미생물생태학 연구실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microbecol.khu.ac.kr |
| 홈페이지 | - |
| 소속 | 경희대학교 |
| 회사명 | 경희대학교 생물학과 |
| 재직기간 | 2009.01.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미생물생태학 연구실 지도교수로서 장내 미생물, 바이러스 생태, 메타게놈 분석 및 박테리오파지 활용 등 미생물학 분야의 심도 깊은 연구를 수행하고, 학생들을 지도하며 교육에 기여 |
| 회사명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 재직기간 | - |
| 담당업무 | 미생물 생태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 수행 |
| 연구 1 | 장내 미생물 생태 및 질병 연관성 연구 |
| 내용 | 본 연구실은 인체 및 가축의 장내 미생물 생태계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하며, 장내 미생물 군집의 구성과 기능이 건강 및 질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알츠하이머병 동물 모델에서의 건강한 미생물 이식을 통한 병리 개선, 메트포르민 처리에 의한 아케르만시아(Akkermansia spp.) 증식과 혈당 항상성 개선 효과 등 장내 미생물과 숙주 간의 상호작용 및 질병 연관성을 활발히 탐구합니다. 또한, 대변 미생물총을 활용하여 가축의 증체 효과를 향상시키고 도축 후 도체중, 등심면적, 근내지방 등급을 우수하게 만드는 조성물을 개발하는 등 축산 분야에서의 실질적인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장내 미생물을 활용한 혁신적인 진단 및 치료 전략 개발에 기여하며, 관련 바이오의약품 개발의 토대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
| 연구 2 | 환경 미생물 메타게놈 및 바이러스 생태학 |
| 내용 | 본 연구실은 토양, 해양, 담수, 발효식품 등 다양한 환경에 존재하는 미생물 및 바이러스 군집의 생태학적 특성과 기능을 분석하는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ext Generation Sequencing) 및 메타게놈(metagenome) 기술을 활용하여 특정 시공간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종류와 이들 간의 상호작용, 그리고 환경 변화에 따른 군집 변동을 정밀하게 파악합니다. 특히 전통 발효식품의 미생물 천이 과정 및 바이러스 군집 분석, 국내 담수호의 바이러스 메타게놈 자원 확보 연구를 통해 새로운 미생물 자원 발굴 및 생태계 이해를 심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환경정화용 미생물의 환경 안전성 관리 기법 개발, 폐수처리 미생물 모니터링용 DNA칩 제작 등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응용 연구를 병행하며, 고세균, 진균, 바이러스 등 다양한 미생물 그룹으로 연구 범위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
| 연구 3 | 박테리오파지 기반 항균 및 미생물 제어 기술 |
| 내용 | 본 연구실은 병원성 세균을 특이적으로 사멸시키는 박테리오파지(bacteriophage)를 분리 및 활용하는 항균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식중독을 유발하는 살모넬라(Salmonella)균에 대해 탁월한 사멸능을 갖는 신규 박테리오파지(SalP)를 발굴하여, 살모넬라균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세균 사멸용 조성물, 미생물 제제, 항생제, 소독제, 식품 및 사료 첨가제로의 활용 가능성을 입증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항생제 내성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주목받는 파지 치료(phage therapy) 기술의 핵심을 이루며, 특정 병원균에 대한 선택적이고 효과적인 제어가 필요한 다양한 산업 분야에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파지 분리 및 특성 분석에서부터 실제 적용 연구까지 전 과정을 수행하며, 미생물 제어 분야의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 활동 내용 | [학회/위원회 활동] - 한국미생물학회 웹진 '마이크로 컬럼' 기고 (국내외 마이크로바이옴 바이오의약품 규제 동향 분석) |
보유 기술 로딩 중...